Theses

After conducting the Sookmyu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ities HK+ “Age of Disgust, Response of Humanities” agenda project,
we publish the related research theses in professional journals in Korea and abroad.

분류 논문
학술지 구분 등재후보지
저서명 인식틀 전환의 화용론적 효과: 주체성의 빈곤과 돌봄 문제
저자 박승억
참여구분 단독저자
저자 수 1
학술지명 횡단인문학
발행처 숙명인문학연구소
게재일 2024-07-31
본문(링크)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0567
초록 이글은보편적돌봄과그런돌봄을위한연대라는시대적요청을어떻게수용할것인 지의 문제를 다룬다. 돌봄이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그것은 돌봄이 위기에 처했다는 뜻이 기도하다.이문제를해결하는해법으로종종인식틀의전환이,다시말해우리사회를지 탱하고 있는 체제와 그런 체제를 내면화하고 있는 우리의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요청되곤 한다. 그런 요청의 실천적 방안들은 아울러 주체성 강화를 요구한다. 이 글은 이러한 요청 의 화용론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모두에게 행동할 것을 요청하는 일은 때때로 아 무도나서지못하게할수도있거나과잉된자기주장으로나타날수있기때문이다.그래 서의도하지않은결과를낳을수도있다.따라서돌봄의요청이실천적힘을발휘하기위 해서는 이념적 선명성만이 아니라 현실의 조건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이 글은이러한문제상황을주체성의빈곤이라는또다른문제상황과연결해드러내보이 고자 하였다.
주제별 분류 노인, 질병,장애, 기타(지역,종교,계급)
유형별 분류 이론
LIST

Prev 민중 개념의 재구성: 생태환경적 인식을 중심으로
Next A Content Analysis of Child Sexual Abuse Coverage in Vietnamese News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