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Report

‘Public Reports’ comprehensively include various policy resources of professional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coping with the social Disgust issue.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혐오유발보도의 문제점 및 정책적 대응 방향에 관한 연구
  • 저자심홍진, 이훈, 연지영
  • 발행처정보통신정책연구원
  • 발행연도2021
  • 작성언어국문
  • 키워드혐오표현, 혐오보도, 혐오유발보도, 토픽모델링, 코로나19
  • 자료형태보고서
  • 수록면170쪽
70

조회

■ 연구목적

혐오 확산은 각종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중심에는 뉴스 미디어가 존재한다. 코로나19 등과 같은재난 환경은 언론의 혐오 생산을 증폭시킬 수 있다. 뉴스 미디어가 혐오 관련 사건을 최초 보도하면 네티즌들이 댓글을 달고, 인터넷 커뮤니티나 SNS를 통해 혐오 담론이 대량 확대·재생산 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언론의 혐오 유발 보도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개선 방안이 필요하며, 언론보도로부터 파생되는 혐오 댓글의 실태와 이와 같은 언론보도 및 댓글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적 조사·분석이 요청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혐오 유발 보도로부터 비롯된 혐오표현의 실태를 파악하고, 코로나19의 재난 상황이 혐오 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며, 궁극적으로 혐오표현과 혐오유발보도의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주요 연구내용 및 정책적 시사점

먼저, 혐오유발보도와 혐오 댓글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혐오를 유발할 잠재적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주제와 이슈, 사건을 다루는 보도를 혐오 유발 보도로 정의했다. 내용분석을 통해 혐오 유발 보도의 실태를 분석하고,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혐오 유발 보도에 달린 댓글의 토픽과 키워드를 유형화함으로써 수용자의 반응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특정 혐오대상에 대한 혐오 유발 보도를 코로나19 확산 전후로 구분하고, 혐오 유발 보도의 토픽과 키워드가 코로나19의 발생을 전후하여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감염병의 혐오유발 중재 효과를 검증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혐오 유발 보도 양식과 댓글에 의존하여 형성된 혐오 담론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혐오 유발 보도 방지 가이드라인 등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규제나 정책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혐오 유발 보도에 대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책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혐오, 혐오표현, 혐오유발보도의 개념    
1. 혐오와 혐오표현의 개념    
2. 혐오유발보도의 개념    
제2절 혐오 및 혐오유발보도의 표적집단    
1. 이주민 또는 외국인에 대한 혐오    
2. 여성에 대한 혐오    
3. 지역혐오    
4. 종교혐오    
5. 사건·사고 피해자에 대한 혐오    
제3절 혐오유발보도의 이론적 모형    
1.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social intuitionist model)    
2.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에 기초한 혐오유발보도에서 혐오보도로의 전환 과정    
3. 동기화된 추론(Motivated Reasoning)    
4. 침묵의 나선이론(Spiral of Silence)    
제4절 혐오유발보도의 실태 분석    
1. 혐오유발보도의 표적집단    
2. 혐오유발보도의 유형    
3. 혐오유발보도 내 혐오표현 또는 핵심 차별 용어    
4. 혐오유발보도의 의도적 관점(framing)    
제5절 혐오유발보도의 댓글 분석    
1. 혐오유발보도 댓글에 따른 정서의 전이    
2. 혐오유발보도 댓글에 따른 각성의 전이     
3. 혐오표현 댓글의 선행연구 전이     
제6절 코로나19와 혐오유발보도 증강효과    
1. 코로나19와 혐오유발의 관계    
2. 감염병과 혐오유발보도의 임계점    
제3장 혐오표현에 관한 국내외 정책 및 규제 실태    
제1절 혐오표현의 개념적 정의 및 국제기준    
제2절 해외의 혐오표현 현황과 규제 실태    
1. 미국의 혐오표현 규제 범위와 현황    
2. 독일의 혐오표현 규제 범위와 현황    
3. 일본의 혐오표현 규제 범위와 현황    
제3절 국내 혐오 표현의 현황과 규제 실태    
1. 혐오표현의 개념적 정의와 공론화 과정    
2. 혐오표현에 대한 규제 현황과 현실적 제약    
3. 방송 및 통신에서의 혐오표현 규제 현황    
제4장 연구방법    
제1절 혐오유발보도의 전체적 분석 과정    
제2절 혐오유발보도의 토픽 모델링    
제3절 혐오유발보도 기사 및 댓글 감성분석    
제4절 심층 인터뷰의 필요성 및 인터뷰 절차    
1. 심층 인터뷰의 필요성     
2. 심층 인터뷰의 대상 및 절차    
제5장 연구결과    
제1절 코로나19 관련 기사 및 댓글 기술통계    
1. 포털 플랫폼 및 언론사별 코로나19 관련 기사 및 댓글 기술통계 결과
제2절 기사 토픽 모델링 연구결과     
1. 포털별 기사의 토픽 모델링 전체기간 연구결과    
2. 포털별 언론사의 아홉 개 토픽의 상관관계 분석    
3. 포털별 주요 토픽의 의미연결망 분석    
4. 포털별 토픽의 시기에 따른 변화    
제3절 감성분석 결과    
1. 언론사별 기사의 부정 논조, 댓글의 부정 여론 및 수용자 분노 반응    
2. 포털별 기사의 부정 논조, 댓글의 부정 여론 및 수용자 분노 반응    
3. 토픽별 기사의 부정 논조, 댓글의 부정 여론, 수용자 분노 반응    
제6장 분기별 혐오이슈와 혐오여론의 변화    
제1절 분기별 토픽과 코로나19 및 혐오이슈의 관계     
1. 분기별 주요 토픽과 코로나19 및 혐오이슈    
2. 분기별 주요 토픽과 코로나19와의 관계     
3. 주요 혐오이슈와 혐오 키워드    
제2절 혐오이슈(토픽)와 혐오여론(감성)의 관계    
1. 혐오이슈의 분노 반응, 부정적 논조, 부정적 여론(포털 A)    
2. 혐오이슈의 분노 반응, 부정적 논조, 부정적 여론: 포털 B    
제3절 언론사 클러스터 분석 결과    
1. K-평균 군집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제7장 학술적 함의 및 정책적 함의    
제1절 코로나19 관련 언론보도의 부정 프레임 주제    
1. 학술적 함의: 코로나19 보도 관련 책임귀인 프레임과 혐오유발의 가능성    
2. 정책적 함의    
제2절 언론의 부정적 논조와 댓글로 나타난 수용자의 부정적 정서의 전이
1. 학술적 함의: 혐오유발보도와 댓글을 통한 혐오 정서의 전이 가능성    
2. 정책적 함의    
제3절 언론의 논조와 수용자 반응의 괴리    
1. 학술적 함의: 댓글에 나타난 동기화 추론과 침묵의 나선 효과    
2. 정책적 함의    
제4절 포털 A와 포털 B에서의 언론보도 주제 및 수용자 반응의 차이점    
1. 학술적 함의: 포털사이트 간 보도 주제와 댓글 반응의 차이와 성숙한 공론장의 부재    
2. 정책적 함의    
제5절 사회 구성 영역별 정책적 대응 전략 및 정책과제



자료 출처: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혐오유발보도의 문제점 및 정책적 대응 방향에 관한 연구 (kisdi.re.kr)

아카이빙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