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ses

After conducting the Sookmyu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ities HK+ “Age of Disgust, Response of Humanities” agenda project,
we publish the related research theses in professional journals in Korea and abroad.

분류 논문
학술지 구분 등재지
저서명 인류세 위기와 생태적 꿈: 『세계를 뜻하는 단어는 숲이다』을 중심으로
저자 김경옥
참여구분 단독저자
저자 수 1
학술지명 영미어문학
발행처 한국영미어문학회
게재일 2024-12-31
본문(링크)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60780756c031389cc85d2949c297615a&keyword=%EC%9D%B8%EB%A5%98%EC%84%B8%20%EC%9C%84%EA%B8%B0%EC%99%80%20%EC%83%9D%ED%83%9C%EC%A0%81%20%EA%BF%88:%20%E3%80%8E%EC%84%B8%EA%B3
초록 본 연구는 어슐러 K. 르 귄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은 숲』(The Word for World is Forest, )에 나타난 생태적 사고와 인류세 위기에 대한 통찰을 탐구한다. 세계를 가리키는 말은 숲은 환경오염과 자원 고갈로 인해 다른 행성을 식민지화하는 지구인의 행위를 통해 식민주의적 갈등 및 생태적 위기를 그린다. 특히, 애스시 행성 원주민들의 자연과 공존하는 삶의 방식을 조명하며, 지구 중심적 이원론에 기반한 인간 우월적 관념과 대조한다. 따라서 애스시 사회가 자연과 맺고 있는 상호의존적 관계와 그들의 꿈과 무의식이 생태적 비전을 형성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애스시인이 자연을 단순한 자원이 아닌 생명의 동반자로 여기는 태도는 인간 중심적 사고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치유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세계를 가리키는 말은 숲은 인간과 자연, 문화적 다양성과 생태적 균형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가 인류세 위기를 극복하는 데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한다.
주제별 분류 기타(지역,종교,계급)
유형별 분류 문학
LIST

Prev 혐오사회, 해법으로서의 공감
Next 번역의 수행성과 젠더 재현의 역학 – 로맨스 판타지 웹툰의...